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17

02. 교류전기 (정현파 교류) 02. 교류전기 1. 정현파 교류 1) 정현파 교류의 발생 원리 자계 안에 놓인 도체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체가 자력선을 끊게 되어 도체에 기전력이 발생 2) 주기와 전기각 (1) 주기 - 사이클 : 주기파에서 임의값에서 시작하여 다시 그 값이 되는 점까지의 주기 - 주기(T) : 1 사이클이 진행되는 시간 (s) - 주파수(f) : 1초 동안에 반복되는 사이클의 수 [Hz] - 주기와 주파수와의 관계 f = 1 / T [Hz] (2) 전기각 - 정현파 교류 파형에서 시간에 따라 전개되는 각 3) 교류의 특성 (1) 교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가 수시로 변하는 전원이다. (2) 교류는 보통 소문자료 표현함. --> v(t), i(t) 4) 교류 표현 방법 **** (1) 순.. 2023. 11. 24.
04. 전압 분배의 법칙 및 전류 분배의 법칙 응용 기기 04. 전압 분배의 법칙 및 전류 분배의 법칙 응용 기기 1. 배율기 - 측정 전압 범위가 작은 전압계를 이용하여 높은 전압을 측정할 때 사용한다. 2. 분류기 - 측정 전류 범위가 작은 전류계를 이용하여 큰 전류를 측정할 때 사용한다. 05. 키르히호프 법칙 1. 키르히호프 전압 법칙 (KVL) - 폐회로망에서 회로에 인가한 전압과 각 소자에서 발생한 전압강하의 합은 갇다. E = IR1 + IR2 [V] 2.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 (KCL) - 회로의 어느 한 절점에 유입하는 전류와 유출하는 전류의 합은 항상 같다. (에너지 보존의 법칙 원리) i1 + i2 = i3 + i4 3. 줄의 법칙 -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는 줄열 발생. - W = I제곱 R t [J] - R의 도체에 I를 t초간 흘릴 때 .. 2023. 11. 23.
01. 전기의 발생, 02. 옴의 법칙, 03. 전압분배의 법칙과 전류 분배의 법칙 01. 전기의 발생 1. 전기 전기는 전자의 이동에 의하여 발생됨. 2. 원자의 구조 모든 물질은 원자의 집합으로 되어 있음. 원자는 양전기를 가진 원자핵과 그 주위를 회전하는 음전기를 가진 전자로 구성.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로 이루어짐. 3. 전기의 발생원리 1) 대전 물질이 여분의 양전기나 음전기를 가지게 되는 상태 2) 중성상태 양전기를 가진 원자핵과 음전기를 가진 전자가 단단하게 결합된 상태 3) 양전기 발생 자유전자가 물질 밖으로 나가 물질 속에 양전기가 음전기보다 많아진 상태 4) 음전기 발생 자유전자가 물질 밖으로 나가 물질 속에 양전기보다 음전기가 많아진 상태 4. 전기량(전하량) 1) 전하량 전하가 가지고 있는 전기의 양. 기호 Q 단위 [C] [A*s] 2) 전하량 구하는 공식 (1.. 2023. 11. 22.
ICT 기술 (IOT, AR, VR, 머신러닝, AI) ICT 기술 - ICT (정보통신기술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 - IT(정보기술) 에 C(통신)가 더해진 기술. ICT 종류 - IOT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 머신러닝 - 인공지능(AI) - AR 증강현실, VR 가상현실 IOT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사물인터넷 환경을 말함. 참조글 https://blog.naver.com/acornedu/220946700442 4차 산업혁명 ICT기술 (인공지능, IOT, AR..)정보통신기술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융합발전으로 4차 산업 혁...blog.nav.. 2023. 11. 21.
부가세증명원 발급방법 (홈택스) 부가세증명원이란? #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원 # 사업자가 신고한 부가가치세 공급가액과 납부세액을 증명하는 서류 # 부가가치세 과세기간별로 신고내역을 요약한 증명서. 부가가치세 과세기간 부가가치세 발행처 온라인 : 홈택스, 정부24 오프라인 : 세무서 방법 : 홈택스 > 즉시발급 증명 >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 2023. 11. 21.
전자인증서 -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범용인증서 공동인증서란? 온라인으로 전자서명할 때 사용함. (전자서명법에 따름.) 구명칭 : 공인인증서. 6개 공인인증기관에서 발급하고, 사용자가 직접 보관함. (PC, USB 등) 유효기간 1년, 수동갱신 비밀번호 영문+숫자+특수문자 혼합 금융인증서란? 금융결제원에서 개발한 새로운 인증서. 공동인증서의 단점을 보완함. 금융결제원에서만 발급하고, 금융결제원에서 보관함. 비밀번호 6자리 숫자 금융인증서 장점 유효기간 3년, 자동으로 갱신됨. 보안프로그램 필요 없음. 범용인증서란? 은행, 증권, 보험사 등에서 사용 가능. 범용인증서 발급받을 수 있는 곳 : 모든 은행에서 가능. 발급비용 4,400원 2023. 1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