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제품/지진,내진4

지진 반발력 지진 반발력은 지진이 발생할 때 지표 또는 지하에서 발생하는 파동의 에너지를 나타냅니다. 이는 지진이 주변 지역에 얼마나 강력한 파동을 초래하는지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지진 반발력은 마그니튜드로 표현되며, 더 강력한 지진은 높은 마그니튜드를 가지게 됩니다. -------- 내진장치의 반발력은 해당 시스템이 지진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냅니다. 반발력은 시스템이 특정 주파수에서 어느 정도의 에너지를 흡수 또는 전달하는지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내진장치의 반발력은 주로 해당 장치의 설계 및 성능에 따라 결정됩니다. 내진장치의 반발력을 정확히 계산하려면 해당 장치의 기술 명세서나 설계 문서를 참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내진장치의 반발력은 다양한 인자들에 의해 결정되며, 이에는 해당 장.. 2023. 12. 4.
리히터규모 (지진규모) 리히터규모 - 지진의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지진 규모 중 하나. - 이 규모는 지진의 진폭과 에너지를 기록하여 숫자로 표현함. - 리히터 규모가 증가할수록 지진의 강도와 파괴력이 증가함. 리히터 규모에 따른 지진의 강도 - 2.0 미만: 거의 느껴지지 않음 - 2.0~2.9: 느껴지지만 피해는 거의 없음 - 3.0~3.9: 가벼운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 - 4.0~4.9: 다수의 건물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 - 5.0~5.9: 많은 건물이 손상되고 일부 붕괴가 발생할 수 있음 - 6.0~6.9: 강한 지진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함 - 7.0~7.9: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며 지역적으로 대피가 필요함 - 8.0 이상: 대규모 지진으로 전역적으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 [참고] 1) 리히터 규모는 로그.. 2023. 12. 4.
지진파 종류 (P파,S파) [기초개념] 지진 : 지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각 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 지진파 : 지진에서 발생하는 파동을 나타냄. 지진파는 크게 2가지 - P파(Primary wave) - S파(Secondary wave) 1. P파(Primary wave) - P파는 첫 번째로 도달하는 지진파로서, 지진의 발생 지점에서부터 지표면까지 진행됨. (P파는 종파개념) - 이 파는 압축파(Compressional wave)로서, 매체 내의 입자를 압축하고 풀어줌으로써 전파됨. - 고체, 액체, 기체 등 모든 매질을 통과할 수 있음. - 지진 발생 시 가장 먼저 감지되는 지진파. (속도가 빠르기 때문) 2. S파(Secondary wave) - S파는 P파 다음에 도달하는 지진파로서, P파보다 속도는 느리지만 대신에 .. 2023. 12. 4.
인장강도, 인장응력, 인장력, 응력 인장강도 tensile strenth 영구 변형/파괴가 발생 전에 재료가 버틸 수 있는 최대 인장 응력 인장응력 tensile stress 인장력에 의해 생기는 응력 재료가 외력을 받아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그 반대쪽으로 반발하는 힘. 재료 내부에서 일어나는 응력은 인장응력. 인장력 tension force 물체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바깥 방향으로 작용하여 물체가 늘어나게 하는 힘 단위 : 파운드 lbs, 뉴턴 N (대비되는 힘 : 압축력) 응력 stress 어떤 부재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 이 힘에 저항하기 위해 내부에서 발생하는 힘 저항한다는 뜻 : 변형되지 않고 정지상태를 유지한다는 뜻 2023. 12. 2.
반응형